본문 바로가기
눈 건강정보

결막염 증상, 원인 및 예방 방법

by 수수깨비 2022. 11. 9.
반응형
결막염이란?

결막염은 눈에 생기는 안질환으로 눈에 염증이 생겨 눈 흰자 부분이 충혈이 되거나 붉은빛으로 변하는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결막염 증상 (자각적 증상, 타각적 증상)

결막은 외부의 유해요인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결막염의 증상으로는 자각적 증상과 타각적 증상으로나눌수 있습니다. 자각적 증상으로는 이물감, 수명, 동통, 소양감, 안정피로, 유루, 안지 등이 있고 타각적 증상으로는 분비물, 충혈, 부종, 혼탁, 여포, 출혈, 위막, 막, 이전림프선의 종창 등이 일어납니다.

 

 

결막염 원인 (알레르기성 결막염, 세균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결막염>

결막염의 원인으로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감염으로 인해 질환이 생길 수 있고, 아토피 반응에 의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화학제품 및 물리적 요인에 의한 현상으로 결막염이 생기기도 하며 원인 불명인 경우도 있습니다.

청결하지 못한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제대로 세안하지 않아 화장품의 이물질이 눈 주변에 남아있는 경우 콘택트렌즈 착용시 오래된 보존액을 사용하거나 매일매일 콘택트렌즈 보존액을 사용하여 세척하지 않은 경우에도 결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꽃가루, 동물의 비듬이나 각질, 미세먼지와 같은 자극물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는데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걸리면 눈이 가렵고 눈이 부어오르며 뻑뻑하고 건조해집니다.

<세균성 결막염>

청결하지 못한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만지게 될 경우 발생하게 되는 결막염으로 염증이 생기거나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분미물, 이물감, 작열감이 나타나고 만성세균성 결막염으로 심한경우 눈의 피로감과 야간에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

전염성이 높은 결막염으로 공공장소에서 쉽게 전염이 될 수 있으며 전박적으로 충혈, 경한 소얌감, 소량의 수분성 분비물,

흔한 이전림프선병증, 심한 유루가 공통된 특징입니다. 대체로 감기를 동반하며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결막염 예방 방법

결막염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은 직접적인 교류나 손에 의한 접촉으로 인해 쉽게 감염이 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쉽게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예방을 하는게 중요합니다.

외출을 하고 집에 들어오면 꼭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고 학교에서나 학원 등과 같은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는 공간에서 역시

자주 손을 씻어 바이러스로 부터 전염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눈 주위를 만지지 말고 재채기를 할때에는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을 합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에는 세척하여 올바르게 보관하고, 이미 결막염에 걸렸을 경우에는 눈 화장을 피하도록 합니다. 집에서 사용하는 침구와 수건은 자주 세탁하여 사용하고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환절기가 시작되기 전에 알레르기 치료제를 미리 준비하여 결막염 증상을 예방해야 합니다.

 

결막염 원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