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안경을 착요하지만 정작 본인들이 어떤한 이유로 시력이 떨어진건지 내 눈의 상태가 근시, 원시,난시 어떤 상태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멀리가 안보인다고 난시가 심하다고 잘못 알고있는 지식으로 본인의 상태조차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분들을 위해 근시, 원시, 난시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시란?
먼저 근시, 원시, 난시에 대해 알기전 정시란 무엇인지에 설명을 드리도록하겠습니다.
우리 눈에는 망막이라고 하는 카메라로 비유하자면 필름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물체를 보게되면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눈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반사된 반사광이 각막과 수정체를 지나 망막(카메라 필름)에 맺히게 됩니다. 이렇게 빛이 한 곳에 모이는 곳을 초점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초점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게 되면 물체 사물을 보았을때 뚜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시력이 1.0 또는 그 이상이나와 사물을 볼때 선명하고 깨끗하게 볼 수있는 상태가 정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시, 원시, 난시 차이점은?
망막에 초첨이 위치한 곳에 따라 근시, 원시, 난시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근시, 원시, 난시의 차이점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근시란?
초점이 망막의 앞에 위치해 멀리보이는 물체가 선명하지 않고 흐리게 보이는 굴절이상 상태
- 원시란?
초점이 망막의 뒤쪽에 위치하는 굴절이상으로 먼 곳은 잘보이나 가까운 곳은 잘 안보이는 상태
- 난시란?
초점이 망막의 한 곳에 맺히는 굴절이상 상태가 아닌 여러개의 초점이 맺히는 굴절이상 상태



근시, 원시, 난시가 생기는 원인은?
<근시가 생기는 원인>
근시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체질적 요인, 환경적 요인, 영양적 요인이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주로 백인 보다는 동양인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부모가 근시가 있을 경우 자녀 역시 근시가 생길 확률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스마트폰, PC사용 등 전자기기나 책등을 가까이서 오래 보는 경우 눈에 피로감이 쌓이고 초점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근시가 생기게 되기도 합니다.
<원시가 생기는 원인>
원시의 원인으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원시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또한 당뇨, 소안구증후군, 안암 등 질병이 있는 경우 원시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난시가 생기는 원인>
난시의 원인 역시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유전적인 요인으로 난시가 생길 가능성이 크고, 안검하수나, 부안검 같은 눈에 자극이 발생하는 경우 난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눈을 자주 찡그리거나 비비는 습관이 있다면 눈에 자극이 발생해 난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눈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렌즈 가격 적응기간과 최대 수명은? (0) | 2022.11.15 |
---|---|
약시치료 약시교정 가능한가요? (0) | 2022.11.13 |
두개로 보여요! 사물이 두개로 보이는 증상 난시, 복시 해결방법은? (0) | 2022.11.11 |
제 눈이 마이너스 시력인가요? (근시 오목렌즈 / 원시 볼록렌즈) (0) | 2022.11.10 |
결막염 증상, 원인 및 예방 방법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