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이 떨어져 안과나 안경원에 방문해서 시력검사를 받았는데 교정시력이 잘 안나온다고 약시라고 합니다. 조기발견과 조기치료가 중요한 약시! 약시가 생기는 원인과 약시치료, 약시교정은 가능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약시치료 약시교정 가능한가요?
먼저 약시치료와 약시교정이 가능한지에 대한 답변은 치료와 교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약시를 유발하는 질환의 원인에 따라 모든 약시교정과 치료가 가능한것은 아닙니다. 약시치료는 어렸을때 일찍 발견하여 일찍 시작할수록 완치율이 높습니다. 만4세에 약시를 발견하여 약시치료를 시작하는 것과 만8세에 약시를 치료하는 것은 굉장히 큰 약시 완치율 차이가 납니다. 만8세가 넘었다고 하여 약시치료를 하지않는 것보다 꾸준히 치료를 진행하여 약시 개선이 되는지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약시원인>
1. 양쪽 시력차이가 나는 굴절부등시(짝눈)
2. 한쪽 눈이 돌아가 있는 사시
3. 어렸을때 부터 시력이 좋지않은 상태에서 방치함으로 나타나는 약시
4. 생후 24개월 이내 선천성으로 백내장이 있어 잘 보지 못해 생긴 약시 (치료 어려움)
약시치료, 약시교정
약시는 눈에 띄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어렸을때 부모가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4세 부터는 안과에서 조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약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약시가 있는 사람 대부분이 약시가 발생한 눈을 잘 사용하지 않고 좋은 쪽의 시력을 가진 눈으로 사물을 보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시가 있는 눈을 사용하도록 하는것이 중요한데 약시가 없는 눈을 가리는 방법으로 가림치료를 하는 방법이 있고, 좋은 시력을 가진 눈은 조절마비제를 넣거나 안경도수를 넣어 좋은 시력을 가진 눈을 잘 안보이게 하는 처벌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시력이 좋지않은 눈을 정상인 눈의 시력과 같아질 때까지 하거나, 3~6개월 이상 가림치료를 했는데도 더 이상 시력 개선이 보이지 않을때 까지 지속합니다.
굴절이상으로 인해 발생한 약시의 경우는 굴절이상으로 교정을하고, 좋은 시력의 눈을 가려주어 약시인 눈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하는데 좋은 눈 가림치료를 진행해도 약시안의 시력이 좋아지지 않거나 순응도가 나쁜 경우에는 가림치료를 지속하기가 어렵습니다.
약시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해 성인 되어 약시인 것을 알게 된다면 더 이상 발달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데 아리들의 행동을 빠르게 파악하여 정상적인 발달을 유도해야 합니다.
'눈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렌즈(RGP렌즈) 착용 금기사항! 절대 적응할 수 없는 직업과 질환 (0) | 2022.11.16 |
---|---|
하드렌즈 가격 적응기간과 최대 수명은? (0) | 2022.11.15 |
두개로 보여요! 사물이 두개로 보이는 증상 난시, 복시 해결방법은? (0) | 2022.11.11 |
제 눈이 마이너스 시력인가요? (근시 오목렌즈 / 원시 볼록렌즈) (0) | 2022.11.10 |
결막염 증상, 원인 및 예방 방법 (0) | 2022.11.09 |
댓글